최근에 업글된 버전에서 엔터키로 페이지 넘기는 것이 안되어 사용에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
이번에 엔터키 기능을 되살려 주셔서 사용해 보니까 확실히 좋다.
dos 용 뷰어로 이것보다 더 좋은게 있을까 싶다.

palm에 tibr 이 있고 ppc에 aview 가 있다면 역시 dos 엔 hanview.
다만 200lx 의 cga 용으로 나온것이어서 vga 에선 폰트가 늘어나 보이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오히려 글 읽기에는 더 좋다는 ^^

Posted by Whyplus
,
pc110에서 녹음도 될 듯 해서 찾아보니까 역시나 있다.
도스용이라서 다루기도 편하고 다만 voc로 녹음이 되는데 이거야 뭐 필요하면 wav로
변환하면 되니..그럴필요까지야 없겠지만..

8비트 모노로 녹음되는데 의외로 괜찮게 녹음이 되는 것이었다.
마이크 성능이 고성능인가?

팜에서 녹음되는 것 못지 않게 녹음되니 이러다 정말 palm 대체기로 사용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다. 도스용 가벼운 스케쥴러만 있으만 좋겠지만 모든기기를 통틀어 여러면에서
palm의 wp+를 뛰어넘는 스케쥴러는 본적이 없는 것 같다.

녹음하니까 예전에 한데라에 cf512 꽂고 몇시간 동안 녹음을 해도 용량이 남았던 기억이..

 voc.arj


 
Posted by Whyplus
,
오랜숙원이었던 케이스를 입양을 했다.
세월이 엄청 흘렀고 정말 매니아님이신 지원님이 실제 사용하시던 거라  사용감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괜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pc110을 갖고 다니기가 한결 수월해 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바일기기에 있어서 익스트림리미트사의 케이스는 정말 실용적이다. pc110용 케이스는 앙코르가 진행되었을 정도였는데 2002년 판보다는 그래도 이전판이 좀더 pc110과 어울린다는 느낌이다. 익스트림리미트사의 제품으로는 그동안 조나다 710용과 시그마리온용을 사용해 본적이 있지만 이번에 양도받은 pc110이 가장 흡족함을 안겨준다.

지원님께도 감사를..^^

 
Posted by Whyplus
,
워낙 오래된 기기라 정보가 많이 사라지기 때문에 일본웹의 글을 번역기로 돌려 올려놓는다.

원글은 http://www.h6.dion.ne.jp/~daisy/mobile/mobile5.htm 이다.

번역기가 후져서 무슨 의도인지도 모를수 있지만
그래도 눈돌아가게 하는 일본어를 직접보는거 보다는 낫겠다 싶어서..

언제 분해하게 되면 깔끔하게 사진을 대체할 계획이다.



Posted by Whyplus
,
 추후 정보 차원에서

 CONFIG.SYS 내

   28메가 256칼라의 경우
     DEVICE=C:\MEMORY\DXM.SYS C:\MEMORY\OVER16S.COM //5/4
  
   32메가   16칼라의 경우 
                                                                                             
                                                                                                   //5/5
      
 
  개조된 칩에서 드라이버 구동을 하지 않으면 20MB 로 인식된다고 함.
 
Posted by Whyplus
,
1. 사용중에도 충전가능 하게 해주는 어플
   chg.com

2. 화면 로테이션 어플
   SETDA121.zip

3. ultrazoom
 
   메뉴얼 대충 봤더니 scroll lock 키로 줌을 조절한다고 함..
   zoom110.lzh 
Posted by Whyplus
,

[MEMO4] BIOS UPDATE .

IBM PC110 2006. 8. 3. 13:28
 혹시 몰라서 일본웹에서 가져온글.
아마도 메모리업글등을 위해서는 필요한 듯.


Posted by Whyplus
,
 1. 사운드설정
    IRQ 설정을 5 로 변경

 2. 표준모뎀 설치
    iRQ 1 ( ** 우선 새하드웨어추가에서 com포트1을 추가한 다음에 포트1에 모뎀설치하는게 요령)
               그냥 포트2에 모뎀을 설치하려면 나중에 easy setup에서 모뎀포트를 포트2로 바꾸면 될듯.

 3. 적외선 포트
    IRQ 2


 4. 32비트 PCMCIA 드라이버 설치
   
     제어기변경으로 하지 말것, 장치관리자에서 완전히 삭제 후 하드웨어 추가시
    수동으로 직접 위치 지정해서 잡을것.

    pcmcia95.zip


 5. 윈도우 자동 종료
     제어판 전원관리에서 윈도우가 전원관리를 함에 언체크.


 6. 리쥼문제
     제어판 시스템 파일시스템에서 32비트 보호모드 사용하지 않음에 체크.

 
Posted by Whyplus
,
 혹시 몰라 그나마 최신 버전. 당장 osr2의 기본드라이버 문제 없음.

 w95203.exe
 
Posted by Whyplus
,

[MEMO1] PCMCIA 부팅 관련

IBM PC110 2006. 8. 3. 13:05
매번 셋팅할때 귀차니즘을 줄이기 위해 포스팅 해 둔다.
물론 고스트가 있긴 하지만 자주 잊어버리므로,,

pcmcia 관련 부팅과 관련한 하이텔. 임현진 님 글이다.
출처는 하이텔 pda동 기타기종란의 오래된 창고에서..^^

 

매뉴얼 보충자료에 있는 내용에 제가 아는 것을 덧붙였습니다.

  PC110에서의 PC카드 활용에 도움되시기 바랍니다.
  1.
  PC110에서의 PCMCIA카드 사용은 세 가지 방식으로 가능합니다.
  1) Easy-Setup=바이오스 차원의 인식을 통한 사용과,
  2) EZPLAY(Play at Will)=카드소프트를 통한 사용법,
  3) 그리고 양자를 혼합한 방식의 사용법 (이것은 설명생략).  

  그리고 1), 2)의 장단점이 좀 다릅니다.

 1)의 경우 장점은,
       - 더 많은 메모리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 ATA 카드인 경우 부가 환경설정없이 꼽기만 하면 사용가능하다
         (일반모뎀카드도 EasySetup 통해 가능)
            단점은,
       - 사용중에 PC카드를 탈착하지 못한다
       - 절전기능에 대응하지 않는다
       - 기동드라이브 외의 ATA 카드를 인식하지 않는다
 
 2)의 경우는 1)의 단점이 적용되지 않으며,

 당연히 카드지원환경설정은 해야하는지라 사실상의 단점은
  도스메모리 소비량이 좀 더 늘어난다는 것 뿐입니다. 

  방식이 여러가지 있어서 번거롭다고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사실은 매우 합리적이고 유용한 방식입니다.
  우선 내장플래시의 EZPLAY를 이용하여 새로 구입한 ATA 플래시를 인식하고,
  포맷, 시스템전송하여 부팅가능케 하는 등이 물론 됩니다.  다른 한편,
  내장플래시에 이상이 생겨 EZPLAY는 물론 아예 부팅되지 않게 되어도,
  EasySetUp을 통해 ATA 플래시로 기동/사용가능하고, 이를 통해
  내장플래시를 복구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경우에 대비한 치밀한
  설계입니다. 장단점은 각각의 방식에 불가피하게 따르는 특성이죠. 
  제 경우 평상시에는 2)로 사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특히 ATA 플래시의 경우에는 그렇습니다. 나머지 슬롯 하나에
  ATA를 못 쓴다는 것은 억울한 일이죠. 타입 3 HDD의 경우는 그 자체로
  슬롯 2개를 채워버리기 때문에 타입변환어댑터 쓰는 일이 없는 한
  1)로 충분합니다. 단점인 메모리용량의 수십kb 증가 정도는 문제로
  느낀 적이 사실상 없습니다. 

  2.
  ATA 플래시의 부팅환경설정 :
  중요한 것은 ATA 플래시로 부팅하면서 PC카드소프트를 사용할 경우,
  부팅디스크 자체가 바이오스 및 카드소프트의 "이중 지원"을 받아
  작동이 불가능해진다는 점입니다 (부팅하다가 멈춰버립니다).
  이것은 부팅슬롯에 대한 카드소프트 지원을 중지함으로써 해결되는데,
  config.sys에 옵션 하나만 추가하면 됩니다.
  DEVICEHIGH=C:\EZPLAY\SSDPCIC1.SYS /IG0=1 (혹은 /NC0=1)

                                    ******       *******
  ***** 표시는 윗쪽슬롯(1번)에는 카드소프트 지원을 중지하라는 명령
  입니다. IG0=2 로 하면 아랫쪽을 중지합니다. 즉 카드를 삽입하여
  부팅하려는 슬롯의 위치를 적어주면 됩니다. 제 경우는 1 로 하여
  항상 위쪽 슬롯에 꽂아 기동시키고, 아래쪽에 모뎀, 씨디롬 등등
  각종 카드를 탈착하여 사용하곤 했습니다.
  (그 카드로 기동시키지 않고, 내장플래시나 스마트피코로 기동할 때는
   어느 슬롯에 꽂아도 무방합니다.)
  또 이는 타입3 HDD를 타입변환어댑터 통해 사용할 때도 적용됩니다.
  참고로 아래는 제 타입3 HDD(260MB)의 환경설정입니다.
  (REM이 앞에 붙은 것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 설정항목입니다.)

CONFIG.SYS
------------------------------------------
BUFFERS=20
FILES=40
DOS=HIGH,UMB
DOSDATA=UMB
COUNTRY=081,932,\DOS\COUNTRY.SYS
SHELL=C:\COMMAND.COM C:\ /P /E:512 /H
DEVICE=C:\DOS\HIMEM.SYS
DEVICE=C:\DOS\EMM386.EXE RAM I=B000-B7FF I=C900-DBFF X=DC00-DFFF
rem FRAME=E000 X=DC00-DCFF X=D800-D8FF
DEVICEHIGH=C:\dos\$FONT.SYS /MSG=OFF     (일어관련)
DEVICEHIGH=C:\dos\$DISP.SYS /MSG=OFF     (   "    )
DEVICEHIGH=C:\DOS\$IAS.SYS               (   "    )
DEVICEHIGH=C:\DOS\POWER.EXE ADV:MAX
DEVICEHIGH=C:\EZPLAY\SSDPCIC1.SYS /NC0=2  (아래슬롯 지원금지)
DEVICEHIGH=C:\EZPLAY\IBMDOSCS.SYS
DEVICEHIGH=C:\EZPLAY\RMUDOSAT.SYS /MA=DC00-DDFF /IX=5,10
/PX=15E0-15EF,35E0-35E
F,3C0-3CF,102
DEVICEHIGH=C:\EZPLAY\$ICPMDOS.SYS
DEVICEHIGH=C:\EZPLAY\PAWATAS.SYS /NOBEEP (탈착시 비프음 제거)
DEVICEHIGH=C:\EZPLAY\AUTODRV.SYS
rem devicehigh=c:\387\franke.387
rem INSTALL=C:\DOS\IBMMKKV.EXE /M=S /Z=4 /C /L /J=90 /S=C:\DOS\MULTDICT.PRO
/U=C
:\$USRDICT.DCT
LASTDRIVE=z                          
rem C:\TVMOJI\TLTXDOSV.SYS /I:C:\TVMOJI\TLTXDOSV.PRM
DEVICE=C:\DOS\PCMCIAFD.SYS /COMBO=N /0
---------------------------------------------------------------------------
Posted by Whyplus
,
이전 1 다음